The “Uchi-Soto” Concept in Japanese Honorifics (Keigo)

The “Uchi-Soto” Concept in Japanese Honorifics (Keigo)
Understanding Japan’s Relative Honorific System
In Japanese culture, the distinction between “uchi” (内) and “soto” (外) forms the foundation of honorific language (敬語/keigo). This isn’t just about politeness—it’s a linguistic reflection of social relationships.
Key Definitions
Uchi (内) = “In-group”
- Your immediate circle (family, close coworkers, classmates)
- Considered “inside” your social boundary
- Example: Talking about your mother to a friend
Soto (外) = “Out-group”
- Everyone outside your immediate circle
- Includes strangers, customers, superiors
- Example: Talking to a professor about your family
How It Affects Honorifics
- When discussing uchi members with soto people:
- Use humble language (謙譲語/kenjōgo)
- Example:
✖ “母は料理が上手です” (neutral)
◯ “母は料理が少しできます” (humbling your mother’s skill)
- When addressing soto people:
- Use respectful language (尊敬語/sonkeigo)
- Example:
✖ “先生が言った” (neutral)
◯ “先生がおっしゃった” (honorific)
- The relativity factor:
- Your “uchi” expands/contracts by situation
- Colleagues are “uchi” when talking to clients, but become “soto” when talking to your boss
Practical Examples
Situation | Uchi | Soto | Appropriate Speech |
---|---|---|---|
Family dinner | Your family | – | Casual speech |
Meeting client | Your company | Client | Humble your team, honor client |
School conference | Your child | Teacher | Humble your family, honor staff |
Why This Matters
- Shows cultural understanding
- Prevents accidental rudeness
- Essential for business/work environments
- Affects all honorific forms (sonkeigo, kenjōgo, teineigo)
Pro Tip: When in doubt, err on the side of more polite speech until you confirm the relationship dynamics.
日语敬语中的”内(うち)”与”外(そと)”概念 (中文版)
日本敬语中的相对性敬语体系
在日本文化中,”内(うち)”和”外(そと)”的区分构成了敬语(敬語/けいご)的基础。这不仅关乎礼貌,更是社会关系在语言上的体现。
核心概念
- 内(うち) = “自己人”
- 指自己所属的亲密圈子(家人、亲密同事、同学)
- 被视为社交边界”内侧”的关系
- 示例:向朋友谈论自己的母亲
- 外(そと) = “外人”
- 自己圈子外的所有人
- 包括陌生人、客户、上级等
- 示例:向教授谈论自己的家人
对敬语使用的影响
- 当对外人谈论自己人时:
- 使用谦让语(謙譲語)
- 示例:
✖ “我妈妈很会做饭”(中性表达)
◯ “家母略懂烹饪”(谦逊表达)
- 当与外人交谈时:
- 使用尊敬语(尊敬語)
- 示例:
✖ “老师说了”(中性表达)
◯ “老师赐教了”(尊敬表达)
- 相对性特征:
- “内”的范围会随情境变化
- 面对客户时同事算”自己人”,但面对上司时同事就变成”外人”
实用示例
情境 | 内(自己人) | 外(外人) | 恰当用语 |
---|---|---|---|
家庭聚餐 | 家人 | – | 普通语 |
客户会议 | 自己公司 | 客户 | 对公司用谦语,对客户用敬语 |
学校面谈 | 自己的孩子 | 老师 | 对家人用谦语,对老师用敬语 |
重要性
- 展现文化理解
- 避免无意失礼
- 商务场合必备
- 影响所有敬语形式(尊敬语、谦让语、丁宁语)
일본어 경어의 “우치(内)”와 “소토(外)” 개념 (한국어 버전)
일본 경어의 상대적 존댓말 체계
일본 문화에서 “우치(内)”와 “소토(外)”의 구분은 경어(敬語/けいご)의 기초를 이룹니다. 이는 단순한 예의 이상으로, 사회적 관계가 언어에 반영된 것입니다.
핵심 개념
- 우치(内) = “내부 집단”
- 가족, 가까운 동료, 동창생 등
- 사회적 경계 “내부”로 간주
- 예: 친구에게 어머니에 대해 말할 때
- 소토(外) = “외부 집단”
- 내부 집단 외의 모든 사람
- 모르는 사람, 고객, 상사 등 포함
- 예: 교수님에게 가족에 대해 말할 때
경어 사용에 미치는 영향
- 외부인에게 내부인을 말할 때:
- 겸양어(謙譲語) 사용
- 예:
✖ “어머니는 요리를 잘 하십니다”(중립적 표현)
◯ “어머니는 요리를 조금 할 줄 아십니다”(겸양 표현)
- 외부인과 대화할 때:
- 존경어(尊敬語) 사용
- 예:
✖ “선생님이 말씀하셨다”(중립적 표현)
◯ “선생님께서 말씀해 주셨다”(존경 표현)
- 상대적 특성:
- “우치” 범위는 상황에 따라 변함
- 고객 앞에서는 동료가 “내부인”이지만, 상사 앞에서는 “외부인”이 됨
실제 예시
상황 | 우치(내부) | 소토(외부) | 적절한 표현 |
---|---|---|---|
가족 모임 | 가족 | – | 일반어 |
고객 미팅 | 자기 회사 | 고객 | 회사에겐 겸양어, 고객에겐 존경어 |
학교 상담 | 자기 자식 | 선생님 | 가족에겐 겸양어, 선생님에겐 존경어 |
중요성
- 문화적 이해도 표시
- 실수로 인한 무례 방지
- 비즈니스 환경 필수
- 모든 경어 형태(존경어, 겸양어, 정중어)에 영향